SMALL

안전관리비 2

[25.06.] 건설업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해설 및 질의회시집(최종)_계상

2024년 1월 해설집 발간 이후 여러 차례 「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」이 개정되어 최근 2025년 2월 12일 개정된 고시 까지 반영하여 해설집 및 질의 회시집을 새로이 발간하였습니다. 1. 공사종류 분류 전면개편(’24.7.1~) 및 요율 인상(’25.1.1~)  「건설산업기본법」 등 건설 관련법령을 기초로 하여 △건축공사, △토목공사, △중건설공사, △특수건설공사로 전면 재분류  공사특성을 반영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요율 인상(평균19%) 2. 스마트 안전장비 구입·임대비 확대  임대·구입비용 인정 : ’24년(40%) → ’25년(70%) → ’26년(100%)  산안비 총액의 사용한도 : 종전 10% → 20%(’25.2.12~) 3. 모든 연간 단가계약 공사의 총..

건설일반 2025.07.21

안전관리비와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차이점,, 비교.,.,

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비용으로, 안전관리비와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. 1. 법적 근거 안전관리비: 건설기술진흥법에 근거하여 안전관리비를 계상하게 됩니다. 산업안전보건관리비: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로자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사용하는 비용으로 총 공사금액 2천만원 이상인 건설공사에서는 발주자가 의무적으로 계상하여야 합니다. 2. 사용 가능 항목 안전관리비: 안전관리계획의 작성 및 검토 비용,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100조 제1항 제1호 및 제3호에 따른 안전점검 비용, 발파, 굴착 등의 건설공사로 인한 주변 건축물등의 피해방지 대책 비용 등이 있습니다. 산업안전보건관리비: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의 임금 등, 안전시설비 등, 보호구 등, 안전보건진단..

건설일반 2023.11.08
728x90
반응형
LIST